본문 바로가기

유용정보

65세 이상 어르신들을 위한 지원 사업 총 모음

반응형

폭넓은 요금 감면 제도: 철도 및 버스

철도 요금 감면

지하철과는 다르게 완전히 무료는 아니지만, KTX, 새마을호, 무궁화호 등의 철도는 주말과 공휴일을 제외하고 30% 할인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. 특히, 통근 열차는 무려 50% 할인 혜택을 제공합니다.

버스 요금 감면 확대

2022년부터 버스 요금도 특정 지역과 연령대에 따라 무료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. 이는 2021년부터 충남 전 지역, 충북 옥천군, 강원 정선군, 안산시, 화성시 등에서 시작된 정책으로, 춘천시, 광명시, 동두천, 양평군 등 다른 지방자치단체들도 이를 추진 중입니다.

건강보험 적용: 임플란트, 틀니 및 보청기

임플란트 보험 적용

건강보험 적용 시, 임플란트는 평생 2회, 본인 부담률은 30%입니다. 차상위계층 중 희귀난치성 질환자는 10%, 만성질환자는 20% 부담합니다.

틀니 보험 적용

틀니는 7년에 한 번, 본인 부담률이 30%로 적용됩니다. 차상위계층 중 희귀난치성 질환자는 5%, 만성질환자는 15%를 부담합니다.

보청기 지원사업

보청기는 65세 이상 어르신들을 위한 대표적인 지원정책입니다. 이 부분에 대해서는 아주 자세히 정리해 두었습니다.

기초연금 수령자를 위한 이동통신 요금 할인

이동통신 요금 할인 혜택

65세 이상 기초연금 수령자는 매월 최대 11,000원을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. 소득과 재산이 적은 상위 70% 대상자는 청구된 이용료가 22,000원 미만일 경우 50%를 할인받습니다.

노인복지시설을 위한 할인

전기 및 가스 요금 할인

경로당과 같은 노인복지시설은 전기요금의 경우 30%, 도시가스는 5~15% 절감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상수도 및 하수도 사용료 감면

노인복지시설을 대상으로 한 상수도 및 하수도 사용료 감면 혜택은 지역마다 다르므로, 환경부나 각 지역의 상하수도 사업소에 문의 후 행정복지센터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.

1.노인 일자리: 공익형 일자리 수당이 월 27만 원에서 29만 원으로 증가하며, 사회서비스형 일자리 수당도 월 59.4만 원에서 63.4만 원으로 증가합니다. 전체적으로 노인 일자리가 늘어나면서 노인 10명 중 1명은 일자리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.

2.기초연금: 기초연금도 인상되어 단독 가구의 경우 월 32만 3천 원에서 33만 4천 원으로, 부부 가구는 월 51만 7천 원에서 53만 4천 원으로 증가합니다.

3.돌봄 서비스: 신체 제약이 있는 독거노인을 위한 돌봄 시간이 월 16시간에서 20시간으로 확대됩니다.

4.교통비 지원: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교통비 지원이 확대될 예정입니다. 알뜰교통카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K-PASS를 대체 적용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습니다.

이 외에도 다양한 요금 감면 제도가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65세 이상 어르신은 철도 요금을 30% 할인받을 수 있으며, 지하철은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. 또한, 대한항공 국내선 및 국제선을 이용할 때 10%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이러한 감면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신분증을 제시해야 합니다.

반응형